본문 바로가기
심리학

로젠탈 효과(Rosenthal effect) 에 대해

by 복해피 2023. 8. 2.

로젠탈 효과(Rosenthal effect) 또는 피그말리온 효과(Pygmalion effect)는 타인에 대한 기대치가 그들의 스스로의 성과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학적 현상을 나타냅니다. 이 현상의 핵심은 교사, 관리자, 부모, 동료 등이 개인에 대한 기대값을 바탕으로 그들과 상호작용하게 되며, 이로 인해 개인의 성과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. 본 글에서는 로젠탈 효과에 대한 연구 배경, 원인, 논란, 그리고 이 효과를 사용하여 학습 및 업무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겠습니다.

 

 

로젠탈 효과(Rosenthal effect)의 원인

교사, 감독, 부모 등이 개인에 대한 기대치를 갖게 되면, 그 기대는 의도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개인의 행동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.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로젠탈 효과 원인에 관련됩니다.

스테레오타입 및 편견: 기대값은 대부분 개인에 대한 편견과 스테레오타입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. 이러한 기대는 사람들의 사전 지식, 경험, 문화, 사회적 기준 등에 기반합니다. 인식 및 기대: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인식과 기대는 상대방에 대한 대처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. 이로 인해 상대방은 기대에 맞춰 행동하려고 시도하게 됩니다.

자아예측(feedback loop)의 영향: 개인이 주변 사람들로부터 어떤 기대를 받게 되면, 그 기대를 스스로 인지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게 됩니다. 이로 인해, 실제로 기대에 상응하는 성과를 내게 됩니다.

비의식적 소통: 교사, 감독, 부모 등은 기대를 유지하면서 자발적으로 신호나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습니다. 비언어적 소통은 간접적으로나마 상대방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. 이들 요인들이 결합되어 기대에 따른 교사, 감독, 부모 등의 행동 변화로 이어지며, 그 결과로 대상 개인은 기대에 부응하는 성과를 내기 시작합니다.

로젠탈 효과의 원인 이해는 이러한 기대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
 

로젠탈효과(Rosenthal effect)의 연구 배경

로젠탈 효과는 로버트 로젠탈(Robert Rosenthal)과 렌다 제이콥슨(Lenore Jacobson)이 1960년대에 수행한 유명한 연구를 통해 처음 주목받았습니다. 이 연구에서, 교사들은 일부 학생들이 지적 성장에 있어 어이가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정보를 제공받았습니다. 결과적으로, 그 이유가 현재의 성적이 아닌 미래의 기회에 대한 기대로 생겼더라도, 교사들이 더 높은 기대를 가진 학생들은 실제로 더 높은 학업 성적을 거두었습니다.

 

로젠탈효과(Rosenthal effect) 효과

논란: 로젠탈 효과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논란에 둘러싸여 있습니다.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기대의 영향이 과장되어 있다고 말하며, 다른 학자들은 이 효과가 일반화되거나 과도하게 와장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. 그러나 이 효과는 많은 연구 결과를 통해 입증되어 왔으며, 실제로 기대값이 개인의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.

활용: 로젠탈 효과를 인지하고 활용하면 학습, 업무 및 인간 관계에서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
1. 긍정적인 기대값 설정: 개인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갖고 상호작용하면, 그들의 성과와 동기를 높일 수 있습니다.

2. 신뢰와 격려 공유: 자주 격려 및 신뢰를 전달하며, 긍정적인 기대 등 심리적 지원을 제공합니다.

3. 구체적인 목표 및 기대 설정: 자신 또는 타인에게 명확하게 목표와 기대 정리하여 동기 부여를 강화 시킵니다. 결론적으로, 로젠탈 효과는 개인에 대한 기대치가 성과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줍니다.

 

효과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은 학습, 업무, 인간 관계에서의 성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. 부정적인 기대를 인식하는 것은 동시에 중요하며, 이러한 기대를 축소하고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.